본문 바로가기
Pregnancy, childbirth, childcare/임신 및 출산

출산 준비 - 출산 후 해야 할 일 목록

by hyeranKIM 2022. 7. 29.
728x90


이제 곧 출산을 앞두고, 출산 직후 해야 할 일을 정리해 보았다.

  1. 가족 및 지인에게 출산 소식 알리기
  2. 아기의 탄생 순간을 열심히 기록하기(남편이 해야 할 일)
  3. 산후 도우미 업체에 연락하기(나는 산후 조리원을 안 가기 때문에 산후 조리원에 연락을 안해도 되지만 산후 조리원에 간다면 산후 조리원에도 연락하기)
  4. 출생신고하기(한국): 국제부부인 우리는 출생신고를 양국에 다 해야하는데 한국에 먼저 출생신고를 한 후, 발급받은 출생신고 서류를 가지고 스페인 대사관에서 출생신고를 하면 된다. 한국에서 출생신고를 할 때 온라인과 오프라인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우리는 동사무소가 집에서 가깝기 때문에 동사무소에 직접 방문하여 출생신고를 할 예정이다. 이 때 필요한 서류는 출생증명서(병원에서 발급), 가족관계증명서(동사무소에서 발급 가능), 등본(동사무소에서 발급 가능), 출생신고서(동사무소에 구비되어 있음)
  5. 영아&아동 수당, 첫만남 이용권, 한전 출산 가구 전기요금 할인 신청하기: 영아&아동 수당을 받을 통장사본을 준비해 가야 한다. 동사무소마다 다르지만 통장사본을 파일로 가지고 있다면 이메일로 보낼 수도 있다.
  6. 한전 출산 가구 전기요금 할인 신청을 한 후, 관리 사무소에 이 사실을 알려주기
  7. 태아보험 연락해서 출생등록하기
  8. 다문화가정지원센터 등록하기: 다문화 가정에 대한 혜택이 많지는 않지만 그래도 해놓으면 좋긴 하니까;;;
  9.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재하기: 보통은 자동으로 등재 되지만 혹시 누락 되었을 수도 있으니 1577-1000에 전화해서 확인 해보는게 좋다.
  10. 출산 후, 퇴원 하기 전, 아기 예방접종 BCG 예약 가능여부 확인하기: 출산한 병원이 아닌 보건소에서 해도 된다.
  11. 출생신고하기(스페인): 출생신고서, 출생증명서 영문 원본(출생아이 이름으로 발행), 대한민국 구청에서 발행한 출생신고서류(가족관계증명서 원본에 아포스티유를 먼저 받고 스페인어로 번역 공증), Libro de Familia 원본, 부모님의 여권 원본
  12. 청소연구소 혹은 미소 등의 청소 서비스를 이용하여 집 청소 요청하기: 우리 부부 둘 다 병원에 한동안 있을 예정인데다가 병원에서의 생활이 편할리 없기 때문에 피곤한 몸을 이끌고 반짝 반짝 깨끗하게 청소를 할 수 없을 것 같아 생각해낸 묘안. 평생에 한 번 정도 이런 서비스에 돈지랄 좀 해도 되지 않을까? 아기를 맞이하기 위한 만발의 준비를 하기 위해!
  13. 산후마사지 예약하기: 나는 산후조리원을 안 가기 때문에 집에서 산후마사지는 꼭 받아야겠다 다짐했었다. 분만 날짜 정해지자마자 예약 완료! 물론 가격은 비싸지만 집까지 직접 와주시고 출산 후 뭉친 가슴과 전신 붓기를 위해서는 산후마사지는 필수인듯! 그래도 조리원에서 받는 마사지보다는 저렴하기 때문에 혼자 마음의 위안 중.

 

댓글